한승훈 사진
한승훈
직위(직급)
조교수
전화번호
510-1042
이메일
handa75@pusan.ac.kr
연구분야
한국근현대사
연구실
제2교수연구동(418) 203호

[학위논문]

 

석사논문 : 朝英條約(1883.11)과 불평등조약체제의 재정립, 고려대학교, 2004.

박사논문 : 19세기 후반 朝鮮對英정책 연구 (1874~1895) - 조선의 均勢政策과 영국의 干涉政策의 관계 정립과 균열 -, 고려대학교, 2015.

 

 

[학술논문]


朝英條約과 불평등조약체제의 재정립, 한국사연구135, 2006. 12.

을사늑약을 전후한 영국의 대한정책, 한국사학보30, 2008. 2.

조선의 불평등조약체제 편입에 관여한 영국외교관의 활동과 그 의의(1882~1884), 한국근현대사연구52, 2010. 3.

고립정책과 간섭정책의 이중주 - 강화도조약에 대한 영국의 인식과 대응, 역사비평114, 2016. 2

영국의 거문도 점령 과정에 대한 재검토 - 갑신정변 직후 영국의 간섭정책을 중심으로, 영국연구36, 2016. 12

1880년대 영국외교관의 조선 북부 지역 여행에 담긴 함의 영국의 경제적 확장과 관련하여, 사총90, 2017. 1

19세기 중반 영국의 대조선 문호개방정책 기원 : ·러 대립과 조·청 속방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논총74-2, 2017. 5

19세기 후반 조선의 대외정책 기조와 그 실현-균세정책과 거중조정의 추진, 한국근현대사연구83, 2017. 12

변경의 접촉지대 삼도(三島), 그리고 거문도(巨文島)의 탄생, 조선시대사학보83, 2017. 12

1882~1884년 영국의 공사관 부지 선정과 매입을 둘러싼 외교교섭, 서울과역사98, 2018. 2

‘The Endeavour to Revise Unequal Treaties in East Asia in the Early 1880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3-1, 2018. 2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체결 당시 미국의 공평함이 갖는 함의 - 조선의 관세자주권 확보 시도와 좌절을 중심으로 -, 전북사학52, 2018. 3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의 불완전한 정립과 균열, 역사와현실108, 2018. 6

국정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서술의 특징 - 근대사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31, 2018. 7

1920년 동아일보의 아일랜드 독립전쟁 보도태도와 그 의미, 사림67, 2019. 1

근대 시기 명성황후에 관한 상반된 인식과 담론 형성, 역사와현실111, 2019. 3

청일전쟁 직전 영국의 외교적 간섭 실패와 패권적 지위 균열 : 영국의 대조선정책과 관련해서,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19-2, 2020. 9

(공동, 1저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근대사 체계와 내용 분석, 역사교육연구38, 2020. 10

청일전쟁기 조선정부의 대영(對英) 외교교섭 연구 : 고종과 흥선대원군 세력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86, 2022. 2

근대 시기 영국의 울릉도 인식 연구, 남도문화연구45, 2022. 4

태평양 전쟁기 영국의 한국 독립운동진영의 주목 계기와 그 인식 -김원봉과 조선민족혁명당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79, 2022. 8

(공동, 1저자), 대학 교양교육 내 인성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 K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인격교육16(3), 2022. 8

1866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과 영국, 한국사연구198, 2022. 9

개항기 대외관계사 연구 현황(2000~2021)과 과제, 사총107, 2022. 9

(공동, 교신저자), 대학에서의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교양교육 사례 및 재학생 인식 조사 연구,인격교육16(4), 2022. 11

(공동, 교신저자), 대학 인성교육 현황 연구 - 5개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 문화와융합44(11), 2022. 11

(공동, 교신저자), 대학 교양교육에서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교육 동향 및 실행 방안 연구 : 해당 분야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12(1), 2023. 01

1882~1884년간 조선과 영국의 관계 정립 과정 연구, 한국근현대사연구104, 2023. 03

조선·대한제국기 보수적 관료 조병세의 관직 활동 연구, 조선시대사학보104, 2023. 03

임오군란 직후 청국의 간섭 강화에 따른 조선의 대영(對英) 관계 정립 추이 : 민영익과 박영효·김옥균의 조청 속방관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106, 2023. 04

 

 

[학술저서]


(공저) 조약으로 본 한국근대사열린책들, 2010. 4

(공저) 제국과 변경, 혜안, 2017. 3

(공저) 조일수호조규, 근대의 의미를 묻다, 청아출판사, 2017. 12

(공저) 변경과 경계의 동아시아사, 혜안, 2018. 4

(공저)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 근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8. 12

(공저) 3.1운동 1001, 4, 휴머니스트, 2019. 3

(공저) 주요국의 외교문서집 편찬 : 미국, 영국, 독일, 러시아, 중국, 일본, 조선, 국립외교원, 2020. 6

(공저) 청일전쟁과 근대 동아시아의 세력전이, 동북아역사재단, 2020. 11

(공저) 시민의 한국사, 돌배개, 2022. 6

 

 

[자료집]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편, 近代韓國外交文書5권 조영수호통상조약(2012), 동북아역사재단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편, 近代韓國外交文書7권 임오군란(2013), 10권 갑신정변(2015), 13권 거문도 사건(2017), 서울대 출판문화원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편,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1874~19101~4(2019), 5~10(2020), 11~14(2021),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Peking 127, 128 (1866~1881)15 (2021), 보고사

(공저) 근대 조약과 동아시아 영토침탈 관련 자료 선집』Ⅰ, , 동북아역사재단, 2021. 3

 

 

[역서]

 

(공역) 일본, 한국병합을 말하다열린책들, 2011

 

 

[서평]

 

개항기 대외관계사에서 한국을 행위주체로 부각시키다 : 신효승의 신미양요 와 한성민의 일본의 한국병합과정 연구-, 역사와 현실125, 2022. 9

“American Empire: A Global History , written by A. G. Hopkins”,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11(1), 153155, 2023

 

 

[대중글쓰기]

 

19세기 후반 불평등조약체제의 성립 과정, 내일을 여는 역사, 2006. 9.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내일을 여는 역사71·72, 2018

 

 

[대중서]

 

(공저) 개항기 서울에 온 외국인들서울역사편찬원, 2016

(공저) 쉽게 읽는 서울: 개항기편, 서울역사편찬원, 2020. 7

(공저) 항일무장투쟁과 여성독립운동가, 역사공간, 2020. 11

(공저) 국외한인사회와 여성독립운동가, 선인, 2022. 12

(공저)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2, 현북스, 202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