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의 교육 목적, 교육 목표

역사교육과는, 인류의 역사를 현재와의 연관 하에서 연구 습득하고, 그 지식을 널리 보급함으로써 사회의 전반적인 지식 수준과 교양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또 역사 연구를 통하여 현재에 대한 올바른 안목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갖춤으로써 훌륭한 역사 교사로서의 자질을 배양하고 장차 우리 사회를 이끌어 갈 지도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를 설정한다.
- 역사교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 역사교과의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역사교과 교육학의 연구 흐름을 파악하게 한다.
- 역사교과 관련 교육현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이해를 갖게 한다.
학과 연혁
본 학과는 1980년 사회교육과 역사 전공으로 출발하여 1982년 역사교육과로 독립되어 현재에까지 이르고 있다. 1985년에는 교육대학원 석사 과정에 역사교육 전공이 설치되어 전문 연구자의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1969. 3. 1. |
사범대학 개교 |
---|---|
1980. 3. 1. |
사회교육과(역사전공, 일반사회전공, 지리전공) 신설 |
1982. 3. 1. |
사회교육과를 역사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지리교육과로, 외국어교육과를 영어교육과, 불어교육과, 독어교육과로, 과학교육과를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로 분리 승격. |
1987. 9. 25. |
제10대 학장 박용숙 교수 취임(1989. 10. 1. 이임) |
1997. 10. 6. |
'98학년도 사범계학과 정원조정 결과, 역사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지리교육과를 사회교육학부로,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를 과학교육학부로 통합 |
2010. 3. 1. |
사회교육학부 역사교육전공에서 역사교육과로 분리 승격 |
2023. 8. |
전체 졸업생 977명 배출(2023. 8. 학부 기준) |
2023년 현재 본과에는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 교과교육을 전공하는 5명의 교수가 재직하고 있으며, 입학 정원 19명의 학부생 약 100명과 석사과정의 대학원생 40여명, 박사과정 대학원생 4명이 재학하고 있다.
학과의 특성
본 학과의 주요 전공분야에는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 및 교과교육이 포함되어 있다. 역사학의 분야는 시대별로 고대사, 중세사, 근대사, 현대사로 나뉘어진다. 각 전공 과목에 따라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시대의 사회, 경제, 사상, 문화, 제도사 등의 흐름과 고고학 및 미술사, 사학사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루게 된다. 교과교육의 영역에는 역사교육연구, 교재연구 및 지도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역사학에 대한 생동감있는 교육을 위해 정기적인 고적 답사를 실시하고 있다. 학과 전용의 시청각실을 따로 두어 수업 과정에서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는 한편, 예비 교사로서 멀티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육 기자재 활용 방법도 간접적으로 교수하고 있다.
역사학에 대한 생동감있는 교육을 위해 정기적인 고적 답사를 실시하고 있다. 학과 전용의 시청각실을 따로 두어 수업 과정에서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는 한편, 예비 교사로서 멀티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육 기자재 활용 방법도 간접적으로 교수하고 있다.
학술 활동
'효원사학회'의 운영과 학술지 '역사와 세계' 발간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및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효원사학회'를 운영하고 있다. 효원사학회에서는 전문적인 학술 논문을 수록하는 정기 학술지 '역사와 세계'를 연 2회 발간하고 있다. 현재 36권까지 출간되었다.
정기학술답사
본 학과에서는 매학기 정기적으로 학술답사를 실시하고 있다. 학과 교수의 지도하에 수업에서 익힌 역사 지식을 현장 답사를 통해 비교·체험함으로써 과거의 역사상을 몸소 그려볼 수 있게 한다. 유적과 유물 관찰을 통해 시대적 변화, 발전상을 이해할 수 있다.
졸업 후 사회진출 영역
역사학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폭넓고 종합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자료 해독을 통해 외국어와 한문 실력을 갖추게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사회의 어느 방면으로도 진출할 수 있다.
첫째, 국사, 세계사(일반사회과목 전반을 포함)를 가르치는 중고등학교 교사가 될 수 있다. 또한 역사교육 전공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이 개설되어 있어서 보다 깊이있는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길도 열려 있다.
둘째, 각국의 역사 및 문화에 대한 이해와, 외국어 및 한문 지식을 갖추어 어느 기업체로든 진출할 수 있으며, 박물관, 각 시 군 구청의 문화공보 관련부서로도 진출하여 각 지방의 역사를 편찬하는 일을 맡을 수도 있다. 또 그같은 지식을 바탕으로 대외 홍보나 교육의 업무를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국사, 세계사(일반사회과목 전반을 포함)를 가르치는 중고등학교 교사가 될 수 있다. 또한 역사교육 전공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이 개설되어 있어서 보다 깊이있는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길도 열려 있다.
둘째, 각국의 역사 및 문화에 대한 이해와, 외국어 및 한문 지식을 갖추어 어느 기업체로든 진출할 수 있으며, 박물관, 각 시 군 구청의 문화공보 관련부서로도 진출하여 각 지방의 역사를 편찬하는 일을 맡을 수도 있다. 또 그같은 지식을 바탕으로 대외 홍보나 교육의 업무를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학과 시설

학과 사무실 (제2교수연구동 104호) 학과 운영의 전반적인 사무를 담당하는 곳으로서 각종 서류를 비롯하여 컴퓨터, 복사기를 갖추었으며 교수의 연구, 강의와 학생들의 수업을 지원한다.

학과 자료실 (제2교수연구동 104-1호) 본 학과는 국사·동양사·서양사에 관계되는 단행본, 사료, 읍지류, 정기간행물 등을 포함하여 1만 여 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 본 과의 학생이면 누구나 책들을 대출·복사할 수 있으며 신간 도서들을 계속 구입하여 어느 도서관, 자료실에 뒤지지 않는 학과 자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소속 학생의 대출 기간은 2주간, 대출 한도는 3권 이하이다. 단 정기간행물은 대출할 수 없으며, 필요한 부분만 복사할 수 있다. 전공 도서와 교육학 도서, 교과서, 정기간행물 등을 갖추어 학생들의 수업 준비와 교수의 연구를 지원한다.

시청각실 (제2교수연구동 103호) 실물 화상기, 슬라이드 프로젝터(환등기), O.H.P., VTR, TV 등의 시청각 기자재를 보유하여 시청각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학생회실 (제2교수연구동 105호) 학생들의 수업 준비와 학습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