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목록
- 강상택, 조선후기 둔전에 관한 연구 -후기 실학파 학자의 둔전의를 중심으로-, 1982
- 조정기, 농포자 정상기의 경제관 연구, 1982
- 송종복, 麗初의 對外交易에 關한 小考, 1982
- 서병문, 星湖 李瀷의 敎育觀, 1982
- 박봉성, 해방후 한국역사교육의 연구 - 중학교 국사교과서 중심으로-, 1983
- 강숙희, 開化期 우리나라 女性 啓蒙運動 -1880∼1910년을 中心으로-, 1983
- 박택윤, 惠岡 崔漢綺의 敎育觀, 1983
- 송수방, 聾菴 柳壽垣의 臺諫制度 改革論, 1983
- 김현준, 동학 사상의 근대적 의식의 일고찰, 1984
- 백민호, 太平天國의 收租政策, 1984
- 오대훈, 丹齋 申采浩의 人間觀에 대한 一考察 -그의 歷史思想 및 民族主義思想 과 關聯하여-, 1985
- 김경철, 韓末 初期義兵運動에 대한 연구, 1985
- 박헌철, 개항기 부산항을 중심으로 본 일본인의 상업 활동, 1985
- 송영준, Collingwood의 역사인식 방법론에 관한 연구-칸트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1985
- 채동근, 陽村 權近의 治政改革論, 1985
- 이방언, 高敬命의 義兵活動, 1987
- 허동길, 韋庵 張志淵의 歷史意識, 1987
- 김선규, 華西 李恒老의 經世思想, 1987
- 전광석, 栗谷 李珥의 經濟思想에 대한 小考, 1987
- 한영태, 安鼎福의 史觀과 上古史認識에 관한 考察, 1988
- 김수복, 朝鮮後期의 雇工, 1989
- 이길현, 高麗前期 私學의 成立과 歷史的 意義, 1989
- 김경봉, 金官加耶國의 起源과 領域, 1990
- 이근배, 조선 후기 향촌 사회 지배신문층의 동향, 1990
- 임병수, 조선 초기 문과고시운영과 성균관 교육-주자 성리학의 이해 과정과 관련하여-, 1990
- 장혜자, 농암 유수원의 과거제 개선론, 1991
- 김현숙, 1930년 간도 '5.30봉기'에 대한 일연구 -재만 조선인 공산주의자의 방향 전환과 관련하여, 1991
- 조은희, 16세기 사림 진출의 사회 경제적 배경-성종.중종 년간을 중심으로-, 1992
- 노경현, 현채의 '동국사략'과 애국 계몽 운동기의 역사 인식, 1992
- 유원숙, 1930년대 일제의 조선인 만주 이민 정책 연구, 1992
- 유은주, 고려 양계 지방 세력에 관한 연구 , 1992
- 이혜정, 매천 황현의 역사 인식, 1992
- 박영경, 강위의 현실 인식과 개화 사상, 1993
- 이종룡, 이극로 연구, 1993
- 김정옥,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조 전기 농민층에 관한 서술 분석, 1993
- 김주현, 1920년대 부산 지역의 학교 교육, 1994
- 이성호, 15세기 성균관의 직제 변동 연구, 1994
- 허상도, 고려 숙종대 항마군 설치와 역사적 의미 -숙종년간의 왕권강화책과 관련하여-, 1994
- 이애덕, 대원군 집권기 천주교도에 대한 분석적 고찰-병인박해 순교자 증언록을 중심으 로-, 1994
- 조수진, 조선 후기 동계의 성격 변화-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1994
- 권영오, 신라 원성왕 즉위 과정의 재검토, 1995
- 이영종, 해방후 개신교교회의 재건에 관한 연구 -식민지 잔재 청산 문제를 중심으로-,, 1995
- 강선미, 조선 후기 천주교 수용과 중인층의 동향, 1995
- 조인호, 현채의 역사 인식-보통 교과 동국 역사와 중등 교과 동국 사략을 중심으로-, 1996
- 허승호, 고려말 정몽주의 개혁 활동, 1996
- 강은영, 고려 시대 사원보의 설치 추이와 운영 형태, 1996
- 임효명, 중학교에서의 향토사 학습 조사 연구-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1996
- 김남훈, 미국 남북 전쟁의 원인에 관한 종합적 고찰, 1997
- 김은숙, 조선 후기의 향리역과 향리 작폐 개혁론, 1997
- 송복운, 중학교 국사과 학습 목표 진술 방법에 관한 연구, 1997
- 강미, 임진 왜란기 호서 지역의 반란과 성격 -송유진, 이몽학의 난을 중심으로-, 1998
- 김준혁, 고려무신집권기 산천·성황신앙과 산천비보도감, 1999
- 이훈, 도편추방의 도입과 발전, 1999
- 윤윤경,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발해사 서술 연구, 1999
- 이총희, 여말선초의 척불론 연구, 1999
- 이춘자, 중학교 국사사료 탐구 학습지의 개발과 활용, 2000
- 김정현, 미군정기 의무교육 논의와 정책, 2000
- 주혜란, 고등학교 세계사 사료학습에 관한 연구 -통계로 본 중국의 공산화와 토지개혁-, 2001
- 박혜정, 인터넷을 활용한 중학교 국사 교수-학습 사례연구 -'3.1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2001
- 이귀혜, 부산지방의 봉수대 연구, 2001
- 서성희, 고려초 예천 지역세력과 개심사 석탑 건립, 2002
- 장인종, 조선초기 인재등용의 실제와 방향 -과거제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2002
- 임성순, 역할놀이를 통한 국사 학습지도 방법 연구, 2002
- 차성령, 조선후기 민화에 대한 고찰 -문자도를 중심으로-, 2002
- 최영심, 역사영화를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 신장 방안, 2002
- 이수성, 조선후기 향촌사회사연구동향과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서술내용분석, 2002
- 김정순, 중학교국사교육을 위한 사료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고대사를 중심으로-, 2002
- 정경호,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국정'체제와 '근대사회'서술의 문제, 2002
- 옥지명, 중학교 [사회2] 교과서의 비교 분석 -6·7차 교과서의 「서양근대사회의 시작」단원을 중심으로-, 2003
- 김성은, 7차 교육과정의 역사교과 편성에 관한 현장 조사 -심화선택과목에 대한 선호도를 중심으로-, 2003
- 정환호, 신라 골품제의 전개 과정과 진덕왕대 공복제 정비, 2003
- 김진현,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 교과서 삽화자료 분석 -고려시기를 중심으로-, 2003
- 김형수, 조선후기 경상도 동해안 지역의 상품유통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2003
- 김근숙, 원 간섭기 공녀제의 시행과 그 성격, 2004
- 최선화,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한 국내 반응과 대처방안, 2004
- 서선화, 1920-1930년대 <신여성>에 나타난 신여성의 여성문제 인식, 2004
- 최석봉, ICT를 활용한 중학교 국사 교수-학습 사례 연구 - '근대화의 추구' 단원을 중심으로-, 2004
- 남분순, ICT 활용을 통한 중학교 국사수업의 효율성 제고 방안, 2004
- 이재익, 역사소재를 활용한 인성교육 자료개발과 적용, 2004
- 정혜란, 갑오개혁 전후 '국민'교육의 논의와 전개, 2005
- 박선윤,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수준별 적용을 위한 심화과정연구, 2005
- 오혜진,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토의형 극화 학습'방안, 2005
- 김정미, 7차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려시기 인물 분석 연구, 2005
- 이욱경, 북한 역사교과서 -조선역사-의 민족, 민족주의 분석, 2005
- 배명애, 조선전기의 승려통제책과 승역, 2005
- 최현정, 조선초기 이혼의 변화양상, 2005
- 안혜경, 제 7차 교육과정의 부산지역 향토사 학습편성 및 실행방안, 2006
- 김영애, 초등학교 교사들의 역사인식 특성과 교육방법의 관련성, 2006
- 강문규, 19세기 동래지역 이무임층의 성장과 동래기영회-향촌사회 주도세력으로의 성장과 관련하여, 2006
- 권정아,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 등재된 열녀의 유형과 성격, 2006
- 배진하, 중등학교 향토사 현장교육의 이론과 방안-부산지역을 중심으로, 2006
- 함광현, 조선후기 경남지방 장시 연구, 2006
- 한지원, 묵가사상에 나타나 민의 성격, 2007
- 김민수, 고등학생의 역사인물 이미지 형성과 변형 -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 사례, 2007
- 정미진, 역사교육에서 교사의 여성사 인식과 수업, 2007
- 문득희, 베르사유로의 행진과 여성, 2007
- 배수경, 16세기 일기자료에 나타난 양반가의 가정생활 비교연구 - 묵재일기와 미암일기를 중심으로 -, 2008
- 정지인,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조선후기 수취제도에 관한 서술 분석, 2008
- 문지혜,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발해사 서술과 전망, 2008
- 강화정, 고등학생의 한국현대사 인식과 교수 방안-1960~70년대 한국현대사 수업사례, 2008
- 박혜경,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이슬람 세계 서술에 관한 고찰, 2008
- 김정은, 조선후기 幼學의 증가와 그 성격, 2008
- 윤지현, 중학교 사회 교사의 전공별 수업전개 특성, 2009
- 엄지은, 이헌영의 일본세관 시찰과 일본관 - 일사집략을 중심으로-, 2009
- 최미리, 유형원의 교육개혁론, 2009
- 김무성, 순암 안정복의 천주학 인식, 2009
- 김재필, 김육의 경세관과 정치활동, 2009
- 백성종,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와 이념논쟁, 2009
- 백동호, 영국대처정부의 정책과 장기집권 기반, 2010
- 김남희, 2007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8-9학년 세계사 내용구성 방안, 2010
- 김덕중, 조선후기 유수원의 화폐유통 구조 개선론과 상업정책. 2010
- 배지영, 중종대 정치상황과 소격서 폐지, 2010
- 석홍성, 초기 그리스의 성문법-제정의 배경과 그 특징, 2010
- 신광윤, 임진왜란 이후의 주전 논의와 유형원의 화폐론, 2010
- 박윤희, 조선 전기 여성에 대한 혼인장려책과 그 함의, 2011
- 손언희, 초등학교 사회과 문화재 교수, 학습 방안, 2011
- 이수진, 초등학교 일제강점기 생활사 교재 구성과 수업 방안, 2011
- 신경태, 1907년 이후 호남의병의 변화와 활동, 2011
- 한인정, 그리스 초기 폴리스의 개념과 기원, 2011
- 김영이, TV사극을 통해서 본 중학생의 역사 인물 이미지형성-<선덕여왕>을 중심으로- , 2011
- 박민자, TV사극을 통한 고등학생의 역사 정보수용과 변형-<선덕여왕>에 대한 사실, 허구 판단을 중심으로- , 2011
- 김인주, 313년 그리스도교 공인 -콘스탄티누스 역량(virtus)의 승리-, 2011
- 송영진, 전남 무안군 근대문화유산 연구, 2012
- 이동희, 역사 텍스트 비판적 읽기와 학습자의 역사이해-대한제국과 고종을 중심으로-,2012
- 이태현, 2007 교육과정 8학년 역사 '고려의 대외관계사' 내용구성 방안, 2012
- 양보남, 고구려 안악 3호분 주인공의 성격, 2012
- 강희정, 다산 정약용의 정전제론 -토지분배와 공전 논의를 중심으로-, 2012
- 김시은, 프랑스농민혁명과 동학농민혁명의 비교 고찰 -사회경제적 원인과 농민의식을 중심으로-, 2012
- 염기숙, 역사텍스트에서의 사실진술과 가치판단-중학 역사(상) 삼국통일 단원분석을 중심으로-, 2012
- 정한용, 제국주의(1870-1914) 해석들에 대한 종합적 고찰, 2012
- 권민준, 풍석 서유구의 농업관과 농업경영론, 2012
- 김병관, 박지원 북학사상의 연원과 洛論 경세론의 계승, 2012
- 김혜미, 조선후기 민인층의 천주교 수용과 의미, 2012
- 박병철, 반계 유형원의 교육개혁방안, 2012
- 팽선우, 초등 사회과와 연계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