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역사교육학전공 교과과정
교육목표
시대별, 주제별 강의와 연구성과 검토를 통해 역사학의 내용적 측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와 더불어 내용적 지식을 효율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교수방법적 측면에 대한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치, 경제, 사회, 법률 등 사회현상의 이해에 필요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습득시켜 사회생활에 나타나는 문제들을 다각적으로 분석, 해결할 수 있게 하며, 또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여 올바르게 판단하고 행동하는 지식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지리교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고 지리교과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게 하며 지리교과 교육학의 연구 흐름을 파악하게 하여 지리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두루 다룰 수 있는 전문지식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교육과정표
fnctId=curriculum,fnctNo=105
NO | 학년 | 학기 | 교과목구분 | 교과목명 | 교과목번호 | 학점 |
---|
영역별 졸업 기준학점
학과(부)명 | 전공기본 | 전공선택 | 일반선택 | 논문연구 | 수료학점 | |
---|---|---|---|---|---|---|
사회교육학과 | 석사과정 | 6 | 15 이상 | 3 | 24 이상 | |
박사과정 | 6 | 24 이상 | 6 | 36 이상 |
교과목개요
- SS67555 일반사회교육론연구Ⅰ (Studi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Ⅰ)
일반사회교육의 목표, 교육과정, 지도방법 등에 관한 최근의 연구경향과 관계문헌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최근의 일반사회교육에서의 중요한 쟁점들을 심도있게 탐구한다. - SS67556 일반사회교육론연구Ⅱ (Studi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Ⅱ)
외국의 연구동향과 국내의 사회과 교과교육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를 사회과의 목표, 내용, 지도방법, 평가, 교육과정, 통합사회과 등의 영역에서 검토하여 일반사회교육론의 동향을 이해하고 미래의 일반사회교육을 전망해 본다. - SS67577 사회조사방법론 (Studies in the Social Research Methods)
사회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서 다양한 방법들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사회 현상에 대해 경험적으로 조사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SS67584 한국정치경제연구 (Education in Korean Politics and Economy)
한국의 정치의 방향, 시각 및 과제 등을 분석함과 동시에 한국 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들을 한국경제의 전개과정 속에서 검토한 후 미래의 한국의 정치 및 경제에 대해 전망해 본다. - SS67590 경제학특강 (Modern Economics)
신고전학파, 조절이론, 제도주의, 신맑스주의 등의 경제이론을 오늘날 자본주의가 당면한 경제문제들의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탐구한다. - SS67564 법학특강 (Special Topics in Law)
법사회학적인 제반 연구의 업적들을 살피면서 사회의 현실적인 요청과 실정법의 관계를 논한다. - SE67561 법교육연구 (Studies in Law-Related Education)
법 전반에 걸친 지식을 획득하고, 구체적 사례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사회에서 발생하는 많은 법적 분쟁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고 법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SE67565 일반사회교재연구 (Research of Leanring Material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다양한 사회변동의 흐름을 사회과 교육의 측면에서 분석, 검토하여 정보사회에 적합한 사회과 교재가 어떠한 원리와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를 이론적으로 연구하고 특히, 아동의 발달수준에 알맞는 사회교재를 구체적으로 만들어 본다. - SE67566 일반사회과교육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일반사회과 교육의 목표와 특성, 과제 등에 대한 심도깊은 지식을 습득하며, 일반사회과 교수법의 원리에 대한 전문적 인식을 획득한다. - SE67568 일반사회과교육론특강 (Seminar in Social Studies Education)
일반사회교육의 최근의 연구경향과 관계문헌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최근의 일반사회교육에서의 중요한 쟁점들을 심도있게 탐구하여 미래의 일반사회 교육을 전망해 본다. - SE67569 일반사회과교수학습이론과실제 (Theory & Practice of Learning &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기존의 교수-학습 이론의 유용성과 적합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교육현장의 사회과 수업에 적용하여 검증받는 실천적 내용을 다룬다. - SE67570 사회과교육현장연구 (Action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교육현장에서의 사회과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사회과 교육의 발전적 경향에 대한 전망을 해 본다. - SE67573 사회문화교육연구 (Studies in the Education of Society and Culture)
다양한 사회와 문화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하여 한국 사회와 문화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며, 나아가서 한국의 사회와 문화를 보다 적절하게 교육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도록 한다. - SE67574 현대사회변동연구 (Studies in the Education of Modern Social Changes)
사회가 변동하는 원인, 과정, 방향 및 유형을 분석하고, 사회변동에 관한 제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사회의 구체적 변동양상에 활용하게 한다. - SE67575 한국사회구조연구 (Studies in the Korean Social Structure)
급격한 변동을 경험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구조적 특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며, 나아가 한국사회의 앞으로의 변동 전망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인 인식을 획득하도록 한다. - SE67576 사회사상과사회교육 (Social Thoughts & Social Education)
오늘날 한국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해 심도깊게 분석 토론하여 우리 사회의 앞으로의 발전전망과 과제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SE67578 사회학이론연구 (Studies in Sociological Theory)
사회분석의 새로운 이론적 돌파구인 고전사회학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대사회학의 주요 이론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하는 능력을 모색하도록 한다. - SE67579 문화인류학탐구 (Inquiry in Anthropology)
인간과 사회와 문화의 관계에 대한 종합과학으로서 인간생활의 모든 측면을 상호관련시켜서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문화인류학의 제분야를 탐구하도록 한다. - SE67580 근대정치사상교육론 (Educational Theories in Modern Political Thoughts)
근대정치사상을 비교·연구한다. 특히 정치사상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비교하고 그 역사적,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제 요인을 분석한다. - SE67581 현대정치사상교육론 (Educational Theories in Contemporary Political Thoughts)
서구 정치사상의 근현대의 흐름을 통해 정치적 가치를 인식하고 현대정치사상을 이해함으로써 서구 자유민주주의의 발전과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비판적 인식의 탐구하는데 초점을 둔다. - SE67582 민주정치교육론 (Educational Theories in Democratic Politics)
민주시민성이라는 공통된 가치는 각국의 역사적이고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따라 달리 정의되고 형성·발전되어왔다. 이 세미나는 민주시민성의 국가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국제화 시대에 이들이 어떻게 수렴 또는 조화되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SE67583 국제정치교육론 (Education in Modern International Politics)
탈냉전을 거쳐 세계화와 통합이란 이원성을 지향하고 있는 국제정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해시키는 동시에 교육학적으로 평가한다. - SE67585 북한정치경제연구 (Education in North Korean Politics and Economy)
북한체제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그 정치와 경제를 분석하고 교육학적으로 평가한다. - SE67586 동북아지역정치연구론 (Topics on North East Asian Politics)
전통적인 4강의 대결구도를 검토하는 한편 그들이 어떻게 세력균형과 지역 평화에 공헌하는 지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둔다. - SE67588 경제교육연구 (Studies in Economic Education)
효과적이고 올바른 경제교육을 위한 방안을 교육 대상, 내용, 방법 등을 중심으로 탐구·모색한다. - SE67589 한국경제론교육연구 (Studies in Education of Korean Economy)
오늘날 한국경제의 실상 및 과제를 탐구하고, 이를 올바르게 교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SE67591 경제교육교재연구 (Studies in Materials of Economic Education)
경제교육용 교재에는 어떠한 내용이 수록되어야 하는 가를 탐구함과 더불어 기존 교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 SE67592 정치경제학이론연구 (Theories of Political Economy)
정치경제학의 기본 개념, 이론 체계 등을 신고전학파 경제학과 대비하여 탐구한다. - SE68482 현대자본주의론연구 (Studies in the Contemporary Capitalism)
경기변동 및 경제위기의 원인과 결과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탐구한다. - SE62888 논문연구 (Thesis Research)
사회과학 지식을 토대로 하여 가장 관심있는 영역에서 하나의 연구과제를 선정한 후,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다양한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학술논문을 작성하는 훈련을 한다. - SS67557 역사교육론연구Ⅰ (Theories of History EducationⅠ)
교육학적 바탕 위에서 역사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검토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연구한다. - SS67558 역사교육론연구Ⅱ (Theories of History Education Ⅱ)
교육학적 바탕 위에서 역사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검토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연구한다는 취지에서 역사교육론Ⅰ의 연장학습이다. - SS69255 한국사세미나Ⅰ (Seminar on Korean History Ⅰ)
한국사 연구의 정치사, 사상사에 관한 기본적인 사료를 분석, 비판함으로써 사료의 해독 및 분석 능력을 고양한다. - SS69258 한국사세미나Ⅱ (Seminar on Korean History Ⅱ)
한국사 연구의 정치사, 사상사에 관한 기본적인 사료를 분석, 비판함으로써 사료의 해독 및 분석 능력을 고양한다. 한국사세미나(Ⅰ)의 연장학습이다. - SS69259 동양사세미나 (Seminar on Asian History)
각 시대사 연구 및 지역사 연구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사료 및 연구성과들을 선정·검토함으로써 사료 취급요령을 집중적으로 고양한다. - SS69260 서양사세미나 (Seminar on Western History)
서양 고·중세사에서 학설상 문제가 되는 영역의 기본 사료와 연구논문을 강독한다. - HE67594 역사이론과역사교육 (Theory of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역사란 무엇인가 하는 역사 자체의 학문영역에 관한 본질을 이해하고 이것이 역사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힌다. 특히 역사 인식으로서의 법칙성과 일반화의 문제는 역사교육에 필수적이다. - HE67595 역사교육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History Teaching)
역사교육론의 개론적 이해를 토대로, 역사교육 발전을 위한 역사교육의 연구에 필요한 기초 이론과 방법론을 다루는 한편 내외의 연구사례를 검토하여 연구자로서의 능력을 배양한다. - HE67596역사과학습지도연구 (Teaching methods in History Education)
종래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강의법 일변도를 지양하고 학생이 직접 참여하는 학습 방법을 찾아본다. 특히 탐구학습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한다. - HE67597 역사교육의제문제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쟁점이 되고 있는 역사교육의 중요한 문제들을 살펴, 그것들이 역사교육 현장에서 올바로 지도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HE67598 한국사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Korean History Education)
한국사에 교육목표의 바른 이해, 한국사 관련 교재 및 교육자료의 섭렵, 학습지도안의 작성과 수업상의 유의점에 대한 인지를 통하여, 한국사 수업의 기초적인 교육방법을 터득하게 한다. - HE67599 동양사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Asian History Education)
교육현장에서 동양사교육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동양사 교육목표의 바른 이해, 관련자료의 연구, 효율적인 수업방법을 모색한다. - HE67600 서양사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Western History Education)
서양사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주제중심, 문제중심, 사료중심의 강의를 함으로써 서양의 문화, 역사에 대한 이해와 현장에서의 서양사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HE69272 한국사특강 (Special Topics in Korean History)
한국사 연구에서 주요 주제 및 논쟁점을 선정, 이를 분석, 비판하여 역사상의 재구성을 모색한다. - HE69274 서양사특강 (Special Topics in Western History)
서양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주요 쟁점이 된 주제들을 선택하여 자료를 검토, 분석하고 결론을 이끌어 낸다. - HE69276 동양사특강 (Special Topics in Asian History)
각 시대사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문제·연구성과 등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하며, 또한 발표 및 토론 능력을 배양한다. - HE68465 한국고대사회연구 (Studies in Ancient Korean Society)
한국고대사의 전반적인 역사발전과정을 중요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분석, 검토하여 한국고대사상을 정립한다. - HE68466 동양고대사회연구 (Studies in Ancient Asian Society)
은, 주, 진, 한시대의 중국사 및 동아시아의 제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할 뿐만 아니라, 같은 시기의 중국사와 동아시아의 관련성 속에서 제문제를 검토한다. - HE68467 서양고대사회연구 (Studies in Ancient Western Society)
서양고대에서 중요한 문제를 선택하여 이에 관한 논쟁이나 해석을 살피고 비판한다. 그 주요내용으로는 그리이스의 폴리스와 정치, 로마 공화정의 특색, 로마제국과 기독교 등이다. - HE68468 한국중세사회연구(Ⅰ) (Studies in Medieval Korean Society(Ⅰ))
한국 중세사의 전반적인 역사발전과정을 중요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분석, 검토하여 한국 중세사상을 정립한다. - HE68469 동양중세사회연구 (Studies in Medieval Asian Society)
위진남북조, 수당시대의 중국사 및 동시기의 동아시아사의 제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동시에 같은 시기의 중국사와 동아시아사의 관련성 속에서 제반문제를 검토한다. - HE68470 서양중세사회연구 (Studies in Medieval Western Society)
중세기에 있어서 카톨릭교회의 발전과 봉건사회에 관한 사료상의 문제점, 해석상의 제설을 검토한다. - HE68471 한국중세사회연구(Ⅱ) (Studies in Medieval Korean Society(Ⅱ))
한국 중세사 중 분야별 주요 문제를 선정하여 현재까지의 연구성과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여 한국중세사의 체계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HE68472 한국근대사회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Society)
한국 근대사 중 분야별 주요문제를 선정하여 현재까지의 연구성과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여 한국 근대사의 체계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HE68473 동양근대사회연구 (Studies in Modern Asian Society)
송, 명, 청대(아편전쟁 이전 시기)의 중국사 및 동시기의 동아시아사의 제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동시에 같은 시기의 중국사와 동아시아사의 관련성 속에서 제반문제를 검토한다. - HE68474 서양근대사회연구 (Studies in Modern Western Society)
서양시민사회 형성과정의 기반이 되는 정치, 사상적 배경 및 사회경제적 구조와의 연관성을 연구한다. - HE68475 한국현대사회연구 (Studi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일제 하에서 해방 후에 걸치는 시기를 사회문제, 민족문제 그리고 개혁운동을 중심으로 정치·경제·사회·사상면에서 검토하여, 현대 한국사회의 전개과정, 구조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 부문의 교과상 지표를 세울 수 있게 한다. - HE68476 동양현대사회연구 (Studies in Contemporary Asian Society)
아편전쟁 이후 동시대의 중국사 및 해당시기의 동아시아의 제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동시에 같은 시기의 중국사와 동아시아사의 관련성 속에서 제반문제를 검토한다. - HE68477 서양현대사회연구 (Studies in Contemporary Western Society)
제국주의로부터 제1차세계대전, 베르사유체제, 러시아혁명, 파시즘과 나치즘의 등장, 대공황과 제2차세계대전을 거쳐 냉정시대와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서양현대사의 주요 내용에 관하여 선정된 교재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HE62888 논문연구 (Thesis Research)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제반 사항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논문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 SS67262 지리교육론특강 (Topics in Geography Education Theories)
지리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제반 이론을 폭넓게 이해하고, 이를 중등학교 지리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 SS67617 인문지리교육론특강 (Topics in Human Geography Education)
인문지리학에 대한 차원 높은 이해와 중등학교에서 인문지리 교육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강의이다. 주 내용은 지리적인 사고의 발달과정과 함께 문화·경제·사회지리적인 내용을 심화있게 강의함으로서 인문 지리교육의 기초를 제공한다. - SS67618 자연지리교육론특강 (Topics in Teaching Physical Geography)
자연지리에 대한 보다 높은 차원의 이해와 중등학교 지리교육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자연지리학의 개별 분야인 지형, 기후, 생물, 토양 영역을 인간생활의 무대로서, 자연환경의 실체로서, 인간과 자연환경과의 관계로서 파악하여 지리적 사고의 기틀을 마련토록 한다. - SS69264 지리교육론연구 (Seminar in Geography Education Theories)
중등학교의 지리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제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리교육의 발전방향을 특히 교육정책적 측면에서 모색한다. - SS69266 한국지리교육론연구 (Seminar in Korean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한국의 자연, 산업구조, 인구, 도시, 국토개발 등에 관련된 문제의 기본적 특성을 고찰하여 그 성격과 배경 그리고 해결책 등을 연구하여 중·고등학교 수준별·단계별 교육과정을 충실히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 SS69267 세계지리교육론연구 (Seminar in Education of World Regional Geography)
세계지역지리학 연구를 위한 틀을 이해하고 세계화가 몰고 온 다양한 측면들(경제적, 문화적, 지정학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검토하며 각 하위 문화지역의 환경, 인구 및 취락, 문화적 다양성, 사회경제적 발전 수준, 분쟁과 갈등 등을 살펴봄으로써, 각 대륙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안목을 함양한다. - GE67622 지리교수·학습방법론특강 (Topic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Geography Education)
지리교수·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과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수이론과 학습전략을 수용할 수 있는 모형의 개발 및 적용 능력을 배양한다. - GE67623 지리교육과정및평가론특강 (Topics in Curriculum Planning and Evaluation of Geography Education)
지리교육과정 및 평가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실제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지리교육과정 및 평가방법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GE69280 지리교재개발론특강 (Topics in Developing Teaching Material in Geography)
지리교재의 개발과 관련된 이론과 구체적 개발방법을 연구한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지리교재개발과 관련된 이론과 개발기술을 학습이론과 연관시켜 익힌다. - GE67619 지리사상사특강 (Topics in History of Geographical Thought)
지리학적인 사고의 발달과정을 각 시대의 지배적인 사회 조류를 바탕으로 재정립함과 동시에 이를 체계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양한 문화와 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지리적 사고의 발달 과정과, 학문으로서 지리학이 성립되는 과정, 그 이후의 변화 내용과 함께 우리 나라 전통 지리사상 등이다. - GE69282 지도학특강 (Topics in Cartography)
지도학의 기본 이론을 익히고 실습을 통해 투영법, 독도법, 전통적 지도제작 기술 및 수치지도제작 기술, 그리고 인터넷 지도 제작 기술을 공부한다. 지도제작과 관련된 지도의 역사 및 철학적 배경 등 지도학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통해 지도학적 상상력을 기른다. - GE67624 지형학특강 (Topics in Geomorphology)
지형형성과정에 대한 기본 이론과 침식지형, 구조지형, 화산지형, 하천지형, 카르스트지형, 기후지형, 해안지형 등 개별 지형에 관한 심화된 연구방법론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들 주제에 대한 지형학적 사례를 중심으로 토론한다. - GE61103 기후학특강 (Topics in Climatology)
기후학 연구의 기초 원리와 그 방법을 토론하고, 지표면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기후의 특색을 연구한다. 특히 소지역의 지형과 기후, 국지풍과 천후, 식물생태와 국지기후, 도시기후, 삼림기후, 생기후 등의 주제를 체계적으로 다룬다. - GE69285 환경지리학특강 (Topics in Environmental Geography)
환경론에 대한 다층적 인식을 바탕으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수질오염 및 대기오염의 공간적 실태와 그 해결책에 대해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 사막화와 기상이변 등 국제적인 환경문제에 대한 실상과 각 국가별 입장 및 대책에 대해 살펴본다. - GE67625 도시지리학특강 (Topics in Urban Geography)
도시체계론, 중심지이론, 도시내부구조론 등 도시지리학의 주요 주제들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도시에 대한 지리학적 안목과 분석 능력을 배양한다. - GE67626 사회지리학특강 (Topics in Social Geography)
일상생활의 다양한 공간적 현상을 사회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보다 나은 생활공간을 계획하고 창출할 수 있는 능력과 상상력을 개발한다. - GE67627 경제지리학특강 (Topics in Economic Geography)
경제활동의 공간적 전개과정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활동의 공간분포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GE67628 문화·역사지리학 특강 (Topics in Cultural & Historical Geography)
지역의 형성과 변화를 문화와 역사적인 변수를 기초로 하여 연구하는데 초점을 둔다. 주요 주제는 문화 지역론, 문화 경관론, 문화 생태학 및 문화 발달사이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역사지리학의 제반 자료를 소개하며, 문화 지역연구에서 이들 자료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 GE69288 지리교육사 및 지리교육철학연구 (Seminar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Geography Education)
지리학발달사 및 지리철학과 관련하여 지리교육의 변천사 및 철학적 배경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비판적 논의를 하고, 나아가 지리교육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GE69290 지역지리교육방법론연구 (Seminar in Methodology of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지역지리학의 연구목적 및 방법론과 지역연구의 실제에 대한 심층적 이해 및 비판적 논의를 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바람직한 지역지리교육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 GE69292 지도 및 GIS 교육론연구 (Seminar in Cart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Geography Education)
지도 및 GIS를 통한 지리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연구하고, 이를 응용하여 지리교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원리와 실재를 탐구한다. - GE67636 환경교육론연구 (Seminar in Environmental Education)
인간의 생활환경으로서 지형, 물, 기후 등의 자연 환경과 인간 활동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고찰하고, 환경 변화와 파괴에 따른 환경문제를 이해함으로써 환경교육에 대한 기본 철학 및 내용 그리고 연구 방법론에 대해 이해한다. - GE67632 부산지역론연구 (Seminar in Busan Regional Geography)
부산시의 성장과정에 대한 역사지리적인 접근과, 항만 도시와 대도시로서의 성격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로 인하여 형성된 도시 내부구조와 지역 분화, 인구특성 및 도시 문제 등이며, 주로 사례 연구에 중점을 둔다. - GE67648 한국전통지리연구 (Seminar in Korean Historical Geography)
우리나라 각 지역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과거 지리의 이해 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 내용은 조선시대 우리 나라의 역사 지리적인 내용이다. 지리지와 고지도의 자료소개를 통하여 지리사상 및 지리적인 내용 등을 소개한 후, 전통적인 지리사상인 풍수 및 조선시대 지역의 구조를 각 주제별로 다룬다. - GE69295 수문지리학연구 (Seminar in Hydrogeography)
지표상에 존재하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공간적 분포 특성 및 그 이동에 대하여 물순환과 물수지를 중심으로 탐구하여, 강수, 지표수 및 지하수의 유동, 유출, 증발산 등을 토대로 물의 지역성을 밝히고 나아가 수자원으로서 물의 이용과 개발, 문제점과 향후 대책을 마련한다. - GE69298 자연경관연구 (Seminar in the Interpretation of Natural Landscape)
경관구성 요소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경관구성의 원리와 좋은 경관을 찾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경관조망법과 경관가치에 대한 평가를 통해 전망대나 조망점을 발견하고, 개발하고, 평가하는 기법을 파악한다. - GE67641 농촌지리학연구 (Seminar in Rural and Agricultural Geography)
농촌과 농업의 기본적인 개념과 제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와 세계의 농촌을 대상으로 발달과정과 기능 체계 및 국가 정책등을 다루면서, 산업 및 정보화 시대에 농촌과 농업의 발달 방향 등을 탐색한다. - GE67642 도시사회지리학연구 (Seminar in Urban Social Geography)
사회와 공간의 관계, 도시의 주택, 환경, 근린, 인종, 성 등 도시사회의 다양한 현상들에 관한 이론과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도시사회지리학의 연구주제와 방법론을 토론하고 현대도시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 GE67644 입지론연구 (Seminar in Location Theory)
입지론에 관련된 제반 이론에 대한 심층적 이해 및 비판적 논의를 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현대사회의 산업공간구조를 이해하는데 적합한 입지이론 및 분석방법을 모색한다. - GE67645 지역개발론연구 (Seminar in Regional Development)
공간성장이론, 중심주변이론, 성장극이론, 성장거점이론, 근대화이론, 종속이론 등 지역성장 및 개발과 관련된 이론과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각 지역개발이론들의 장단점과 정책적 의의를 토론한다. - GE67992 유통·관광지리학연구 (Seminar in Circulation & Tourism Geography)
인간 여가 활동의 특성과 지리학 의미를 탐색하고, 여가활동의 공간적 패턴과 여가공간의 특성, 여가활동이 지역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지속 가능한 관광 개발 방법 등을 연구한다. - GE68281 논문연구 (Thesis Research)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제반 사항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논문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 SS69256 사회과교육과 시각화(Social Studies and Visualization)
컴퓨터 그래픽과 연산 능력의 발달로 지도의 역할이 단순히 정보의 전달이 아니라 자료의 검토부터 가설의 검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에서 다양한 프레젠테이션 기법의 교육 및 응용 능력을 함양한다. - SS69257 사회과교육조사연구방법론 (Social Studies Reasearch Method)
사회과교육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정성적 및 정량적 연구방법 및 현장조사법 등을 공부하여 사회과교육 연구의 기본 소양을 기른다.